본문 바로가기
사회 이슈

"피스 메이커 되어 달라, 나는 페이스메이커 역할 하겠다"

by 노멀시티 2025. 8. 26.
반응형

피스메이커 vs 페이스메이커

 

피스메이커 vs 페이스메이커: 헷갈리기 쉬운 두 단어, 본질은 이렇게 다릅니다

8월 26일 새벽 열린 한미 정상회담. 이 대통령은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“피스메이커(평화 조정자)”의 역할을 주문했고, 자신은 “페이스메이커(경기 조율자)”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. 두 단어는 발음이 비슷해 혼동하기 쉽지만, 의미는 전혀 다릅니다. 이번 글에서는 어원부터 의미·쓰임·사례·비슷한 말까지 총망라하여 독자들이 더 이상 헷갈리지 않도록 정리합니다.

핵심 요약
✔ 피스메이커(Peacemaker) = 평화를 만드는 사람
✔ 페이스메이커(Pacemaker) = 속도를 조절하는 사람(또는 심장박동기)
✔ 정치·스포츠·의학 등 전혀 다른 영역에서 사용
✔ 혼동하기 쉬운 만큼 올바른 쓰임 이해 필요

1. 피스메이커(Peacemaker) — 평화의 중재자

1-1) 어원과 정의

Peacemaker는 Peace(평화) + Maker(만드는 사람)의 합성어로, 고대 영어 기록에서도 발견됩니다. 중세기에는 전쟁을 중재한 왕이나 성직자에게 붙던 칭호였고, 현대 정치 담론에서는 분쟁 해결자, 평화 협상가라는 의미로 쓰입니다.

1-2) 쓰임과 사례

  • 국제정치: 유엔 사무총장, 중재 외교관
  • 종교·사회: 지역 분쟁 중재인
  • 일상 언어: 싸움이나 갈등을 가라앉히는 사람
사례: 미국의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은 ‘중동 평화의 피스메이커’라 불렸습니다.

2. 페이스메이커(Pacemaker) — 속도를 조율하는 존재

2-1) 어원과 정의

Pacemaker는 Pace(속도) + Maker(만드는 것)에서 파생. 원래는 경기에서 선수들의 기록을 돕기 위해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는 주자를 가리켰습니다. 현대 의학에서는 ‘심장 박동을 조율하는 인공 장치(심장박동기)’를 뜻하기도 합니다.

2-2) 쓰임과 사례

  • 스포츠: 마라톤·사이클 경기 기록 달성을 돕는 러너
  • 정치적 은유: 전체 흐름을 맞추는 보조 역할
  • 의학: 심장 수술·질환 치료용 전자기기
사례: 케냐 마라톤 선수 엘리우드 킵초게가 2시간 벽을 깰 때, 40명의 페이스메이커가 교대로 달려 도움을 주었습니다.

3. 두 단어가 혼동되는 이유

피스메이커와 페이스메이커는 발음이 유사하고, 특히 한국어 표기로는 둘 다 “피스/페이스메이커”처럼 들리기 때문에 종종 잘못 사용됩니다. 하지만 하나는 ‘평화’, 다른 하나는 ‘속도’라는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.

4. 비슷한 말·틀린 말 정리

구분 단어 사용 영역
비슷한 말 Mediator 중재자, 협상가 정치·사회
비슷한 말 Pioneer 개척자, 선도자 기술·과학
틀린 말 Peacekeeper 평화유지군 국제분쟁

5. 왜 각광받는가? — 정치·스포츠·대중문화

  • 피스메이커: 글로벌 외교, 평화 프로세스의 상징
  • 페이스메이커: 목표 달성, 성과 달성의 필수 보조자
  • 대중문화: 영화·노래 제목으로도 빈번히 사용되어 익숙함

6. 국민적 반응과 언어적 교훈

정상회담 발언처럼 두 단어를 대비적으로 사용할 경우, 국민은 정치인이 평화의 주도자(피스메이커)와 지원자(페이스메이커)를 동시에 강조한다는 점에서 신선함을 느낍니다. 동시에 언어적 혼동을 극복하고 정확한 의미를 되새기는 계기가 됩니다.

✔ 피스메이커 = 평화를 만드는 사람
✔ 페이스메이커 = 속도를 조절하는 사람
👉 둘은 전혀 다르다! 발음·표기 유사성에 속지 말자

7. 결론 — 헷갈리지 않는 법

Peacemaker = Peace, Pacemaker = Pace. 어근의 차이를 기억하면 됩니다. 앞으로 정치·스포츠·의학 뉴스에서 이 단어들이 등장할 때, 더 이상 혼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
반응형